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남구 제2선거구(부산)

덤프버전 :

||
파일:남구_제2선거구(부산)8재.png
선거인 수41,311명 (2022년)
상위 행정구역부산광역시
관할 구역
[ 펼치기 · 접기 ]
남구 일부
문현1동, 문현2동, 문현3동, 문현4동
시의원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정태숙 (초선)




1. 개요[편집]


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남구의 서부에 위치한 문현동 일대를 관할한다.

여느 부산 지역과 마찬가지로 국민의힘 지지세가 압도적인 편이다.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실정으로 용호1동이 보수화 되기 전까지는 문현2동이 남구에서 가장 보수세가 강한 곳 중 한 곳이였다. 물론 자유한국당이 거의 궤멸하다시피한 7회 지선 때는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하기도 했다.

2. 역대 선거 결과[편집]


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
남구 제4선거구
제2대송기권
무소속

1995년 7월 1일 ~ 1998년 6월 30일[1]
제3대조청래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1998년 7월 1일 ~ 2002년 6월 30일
남구 제3선거구
제4대박기욱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2002년 7월 1일 ~ 2006년 6월 30일[2][3]
남구 제4선거구
제5대이산하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06년 7월 1일 ~ 2010년 6월 30일[4]
제6대2010년 7월 1일 ~ 2014년 6월 30일
제7대진남일
ta-hash-start=w-058db3a6c3757ceb11d38c356dfeb9a8[[파일: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.svg
2014년 7월 1일 ~ 2018년 6월 30일
제8대이산하
파일: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18년 7월 1일 ~ 2022년 6월 30일
남구 제2선거구
제9대정태숙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2022년 7월 1일 ~ 현재[4]

2.1.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남구 제4선거구
문현1동, 문현2동, 문현3동, 문현4동, 문현5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조청래(趙淸來)15,3132위

ta-hash-start=w-91a844eb4dd5b04c0eca6bad7720f4da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48.18%낙선
2송기권(宋基權)16,4711위

무소속

51.81%당선
선거인 수49,529투표율
66.73%
투표 수33,054
무효표 수1,256

2.2.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남구 제4선거구
문현1동, 문현2동, 문현3동, 문현4동, 문현5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조청래(趙淸來)11,830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53.90%당선
4송기권(宋基權)8,1592위

무소속

37.17%낙선
5최수일(崔秀一)1,9583위

무소속

8.92%낙선
선거인 수44,934투표율
50.98%
투표 수22,910
무효표 수963

2.3.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남구 제3선거구
감만1동, 감만2동, 우암1동, 우암2동, 문현1동, 문현2동, 문현3동, 문현4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박기욱(朴基旭)28,413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73.88%당선
3주우열(朱尤烈)10,0412위

ta-hash-start=w-3fc882754b17385d1114c23de0f5f9bf[[파일: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.svg
26.11%낙선
선거인 수92,677투표율
43.19%
투표 수40,032
무효표 수1,578

2.4.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남구 제4선거구
문현1동, 문현2동, 문현3동, 문현4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2이산하(李山河)15,994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72.52%당선
4박영환(朴英煥)6,0593위

ta-hash-start=w-7f620f5c618aab07b864cbf7ab69974e[[파일: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.svg
27.47%낙선
선거인 수45,809투표율
49.32%
투표 수22,594
무효표 수541

2.5.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남구 제4선거구
문현1동, 문현2동, 문현3동, 문현4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이산하(李山河)9,889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46.80%당선
7배수태(裵樹泰)8,4832위

무소속

40.15%낙선
8박형범(朴瀅範)2,7543위
13.03%낙선
선거인 수45,710투표율
47.89%
투표 수21,895
무효표 수769

2.6.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남구 제4선거구
문현1동, 문현2동, 문현3동, 문현4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진남일(陳南壹)12,1891위
50.94%당선
2안병길(安秉吉)7,1942위
30.06%낙선
4이진호(李辰浩)4,5443위
18.99%낙선
선거인 수44,451투표율
55.29%
투표 수24,577
무효표 수650

2.7.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남구 제4선거구
문현1동, 문현2동, 문현3동, 문현4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이산하(李山河)11,6491위
49.23%당선
2진남일(陳南壹)9,6552위
40.80%낙선
3박형범(朴瀅範)1,6913위
7.14%낙선
6박원대(朴元大)6654위
2.81%낙선
선거인 수82,037투표율
57.81%
투표 수47,433
무효표 수1,058

2.8.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남구 제2선거구
문현1동, 문현2동, 문현3동, 문현4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이강영(李康榮)8,1742위
39.88%낙선
2정태숙(鄭泰淑)12,3181위
60.11%당선
선거인 수41,311투표율
50.93%
투표 수21,041
무효표 수549
원래 남구 제4선거구였으나 21대 총선 때 선거구 획정 당시 문현동남구 갑으로 넘어가면서 순서도 앞당겨지게 되어 남구 제2선거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.

현역 이산하 시의원은 2021년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다시 국민의힘에 복당하였다.

현역을 잃은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 지역에서 재선 구의원을 역임 중인 이강영 전 구의회 부의장이 단수공천을 받았다.

국민의힘에서는 진남일 전 시의원은 남구청장을 노리고[5], 이산하 시의원은 연임을 노렸으나 컷오프당하였고 정태숙 우진아이에스 대표가 단수공천을 받았다.

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:1구도가 형성되었다.

개표 결과 국민의힘 정태숙 후보가 60%를 얻으며 여유롭게 당선되었다. 세부적으로 보면 문현3동에서 59.55% : 40.45%로 이강영 후보가 40%를 넘게 받았으며, 문현1동에서 60.4% : 39.6%로 두번째로 격차가 좁았다. 그나마 문현2동에서 62.8%, 문현4동에서 63.3%를 정태숙 후보가 얻으며 전체 득표율을 60%대로 맞추는데는 성공했다. 관외사전투표에서는 51.4% : 48.6%로 심지어 3%p 이내의 초접전인 상황이였다. 정치 신인 대 다선 구의원이라 그런지 지지세에 비해 이강영 후보가 높은 득표율을 올린 셈이다. 이에 힘업어 낙선 이후에 남구 갑 지역위원장에 선임되었다.[6]


[1] 문현1동, 문현2동, 문현3동, 문현4동, 문현5동[2] 감만1동, 감만2동, 우암1동, 우암2동, 문현1동, 문현2동, 문현3동, 문현4동[3] 1999년에 문현5동이 문현2동에 통합되었다.[4] A B 문현1동, 문현2동, 문현3동, 문현4동[5] 막상 경선 문턱도 못 밟고 컷오프당했다. 이에 반발해 이곳에 무소속 예비후보로 등록까지 했었으나, 실제로 출마하지는 않았다.[6] 다만 다음 총선에서는 남구단일 선거구로 통합될 가능성이 높다. 부산에 단 3명 뿐인 초선도 아닌 재선인 박재호 의원을 경선에서 이길 가능성은 현저히 적은 편이라 총선 후보로의 출마는 어렵고 지역구 관리를 위한 지역위원장 정도일 것으로 보인다.